본문 바로가기

[리서치] 지역사회거주 성인의 뇌졸중 영향 요인

[리서치] 지역사회거주 성인의 뇌졸중 영향 요인


통계청에 따르면, 대한민국 추계인구는 51,635,256명이며, 2017년 복지부조사에 의하면, 전체 인구 중 장애인은 267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전체인구의 5.2%정도입니다. 장애인구가 215만 명이었던 2005년과 비 교하여 2017년에 19% 이상 증가한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전체 인구뿐만 아니라 장애 인구에서도 기대수명이 증가 하고 있습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수명연장은 보건의료산업의 수요로 발생하고 이는 양적이든 질적으로든 보건의료서비스 의 중요성이 상승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발전에 맞춰 장애인 건강관리 사업에 보건의료전문가들이 더욱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장애인구 267만 명 중 뇌병변 장애는 25만 명으로 9.7% 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뇌병변 장애 중 뇌졸중의 비중은 73%로 가장 많은 진단 군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3위에 해당 하는 뇌졸중은 뇌혈관의 손상, 즉 막히거나 터져 발생하는 중대한 질병입니다. 뇌졸중 발생의 위험요인으로는 나이, 성 별,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 다른 만성질환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그리고 음주, 흡연 등 다양하게 보고된 바 있습니다. 평균 수명의 증가로 노인건강관리 비용이 증가하여 건강한 사람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건강관리가 더욱 중요 시되고 있고, 뇌졸중 첫 발생 및 재발에 영향을 주는 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보건복지부 주관 으로 장애인 건강관리사업이 2012년부터 수행되고 있습니다. 

삶의 질의 정의는 한 개인이 살고 있는 가치 속에서 자 기 자신의 목적, 기대, 관심에 대한 신체적·정신적·사회경 제적 측면의 주관적인 안녕 상태를 말합니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사회경제적 측면을 제 외하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등의 다차원적인 건강에 대한 주관적 관점의 건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도구 중 EQ-5D(EuroQol-5 Dimension)는 측정이 간단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구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도 이 도구를 이용하여 한국 문화나 가치체 계에 적합하게 건강수준 가치점수가 보고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우리 나라에서 뇌졸중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는 가치점수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도구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생 활, 통증/불편, 불안/우울로 총 5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 어 있는데 이 영역들은 뇌졸중이 있는 사람에게 문제가 되는 신체적, 심리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각 영역별 비교가 뇌졸중 의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판별함에 있어서 충분히 의미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보고된 뇌졸중에 영향 요인 연구를 살펴보면, 이전에는 질병 발생에 대한 요인에 중점을 두거나, 만성질환 여부 또는 음주, 흡연 여부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두었습니다. 최근에는 건강행태의 매개효과 검증 연구 등 이 보고되고 있으나, 건강관련 삶의 질과 뇌졸중 발생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매 우 부족하였습니다. 연구자는 특별히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 뇌졸중 영향 요인에 초점을 두어 결론을 도출하였을 때 연구 결과의 기대효과는 추후 뇌 졸중을 가진 사람을 위한 건강관리 및 증진 프로그램 개 발의 근거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고 생각합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에 서 남성일수록, 나이가 증가할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뇌졸중을 높게 예측하였습니다. 동반질환 여부에서 고혈압, 당뇨, 이상고지혈증, 심근경색이 있을수록 뇌졸중이 있을 확률이 높았다.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 뇌졸중 을 예측한 영역은 자기관리, 일상활동, 운동능력, 불안/우울 순서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이 있는 성인의 자조관리와 일상생활 능력의 증진을 위한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합니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본 사이트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생생정보 All rights reserved.